<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을 움직이는 사람들>

- [추적]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주요 임원 대해부

2011년 12월 정대협, ‘김 국방위원장 서거라는 급작스러운 비보에 북녘 동포들에게 깊은 애도를 전한다’는 조전(弔電) 북측 전달

● 윤미향 상임대표의 남편, 1994년 남매 간첩단 사건으로 징역 4년을 선고 받은 
   김삼석 씨
● 손미희 대외협력위원장 남편 한충목 씨, 맥아더 동상 철거집회 등 각종 反美
   투쟁 주도하다 실형
● 손미희 대외협력위원장은 40여 차례 訪北, 통진당 해산 결정 반대 시위,
   김정일 조문 주장
● 정대협 간부들 중 일부는 정권 퇴진, “박근혜 여성대통령 자격 없다”는 대국민
   호소문 발표 등 시국활동에 적극 참여

지난 4월 29일(현지 시각)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일본 총리 사상 최초로 미 의회 상하원 합동 연설을 했다. 이에 앞서 4월 27일에는 미·일 양국이 군사협력의 범위를 일본 주변 지역에서 세계적 차원으로 확대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미·일 방위협력지침을 개정했다.

미국과 일본의 관계가 ‘신(新)밀월’이라 불릴 정도로 급속도로 가까워지고 있는 반면, 한국은 소외되는 형국이다. 한일 관계가 악화일로일 뿐만 아니라, 한반도 안보의 핵심인 한미동맹마저 일본과의 소원한 관계 때문에 삐걱거리고 있다.

▲ 지난 5월 서울시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정대협의 수요집회 장면.

그런데 이번 아베 총리의 미국 방문의 또 다른 주연도 행사장 주변에 자리하고 있었다. 위안부 할머니들을 인솔하여 간 워싱턴 정대협이다. 이들은 하버드대학, 미 의회 등 아베 총리 일행을 따라다니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요구했다. 워싱턴 정대협으로 알려진 이 행사의 주관단체는 워싱턴정신대대책위원회로 한국의 정대협과는 별개의 단체다. 행사는 재미교포 단체인 워싱턴정신대대책위원회와 미국 LA가주한미포럼이 주도했다.

아베 총리 방미 관련 행사와는 별도로, 정대협 즉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한일 관계에선 이번 행사뿐 아니라 줄곧 정부를 대신하여 주인공 역할을 담당해 왔다. 최근 우리 정부의 대일(對日) 외교정책이 ‘위안부 문제와 관련하여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법적 배상’이라는 정대협이 만들어놓은 원칙의 틀에서 한 발짝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1990년 11월 발족한 정대협이 위안부 문제를 의제화하고 국내외적으로 공론화한 성과를 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일본 정부에 대한 정대협의 ‘무릎 꿇리기’ 식 태도와, 이런 정대협의 대일 운동에 끌려 다니는 우리 정부의 정책은 한일 관계와 한미 동맹의 악화를 초래한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386 운동권이 정대협 조직의 실무 주도

그래서 궁금해졌다. 정대협은 과연 과거에 말할 수 없는 고통을 당한 위안부 할머니들의 인권 개선을 위해 활동하는 순수한 시민단체인가? 아니면 다른 목표가 있는 운동단체인가? 이런 의문은 정대협이 진정으로 바라는 것이 위안부 할머니들의 문제 해결인지, 아니면 한국과 일본의 ‘결별’인지의 문제로 연결된다.

정대협은 1990년 한 신문에 ‘정신대 원혼의 발자취 취재기’를 연재하며 우리 사회에 위안부 문제를 알린 윤정옥 이화여대 교수와 한국여성단체연합 대표였던 이효재 이화여대 교수가 공동 대표로 참여, 37개 여성단체를 회원으로 1990년 11월 설립됐다.

이렇게 시작한 정대협은 일본 정부에 대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진상 규명과 사죄를 촉구하는 동시에 국제 사회에 위안부 문제를 알리는 데 주력했다. 성과도 잇따라서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책임과 배상을 권고하는 유엔 쿠마라스와미 보고서(1996년), 맥두걸 보고서(1998년), 미 하원 결의(2007년) 등을 이끌어냈다.

학계와 여성계의 주요 인사들이 참여해 출범한 초창기 정대협은 대부분의 단체처럼 조직 운영과 실무는 청년 활동가들이 주로 담당했다. 이때 대학을 졸업한 지 얼마 되지 않는 1980년대 초반 학번, 이른바 386 운동권들이 대거 실무 활동가로 정대협 소속 또는 비소속으로 참여하게 된다.
29 Dec 2015 01:08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을 움직이는 사람들>

- [추적]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주요 임원 대해부

2011년 12월 정대협, ‘김 국방위원장 서거라는 급작스러운 비보에 북녘 동포들에게 깊은 애도를 전한다’는 조전(弔電) 북측 전달

● 윤미향 상임대표의 남편, 1994년 남매 간첩단 사건으로 징역 4년을 선고 받은
김삼석 씨
● 손미희 대외협력위원장 남편 한충목 씨, 맥아더 동상 철거집회 등 각종 反美
투쟁 주도하다 실형
● 손미희 대외협력위원장은 40여 차례 訪北, 통진당 해산 결정 반대 시위,
김정일 조문 주장
● 정대협 간부들 중 일부는 정권 퇴진, “박근혜 여성대통령 자격 없다”는 대국민
호소문 발표 등 시국활동에 적극 참여

지난 4월 29일(현지 시각)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일본 총리 사상 최초로 미 의회 상하원 합동 연설을 했다. 이에 앞서 4월 27일에는 미·일 양국이 군사협력의 범위를 일본 주변 지역에서 세계적 차원으로 확대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미·일 방위협력지침을 개정했다.

미국과 일본의 관계가 ‘신(新)밀월’이라 불릴 정도로 급속도로 가까워지고 있는 반면, 한국은 소외되는 형국이다. 한일 관계가 악화일로일 뿐만 아니라, 한반도 안보의 핵심인 한미동맹마저 일본과의 소원한 관계 때문에 삐걱거리고 있다.

▲ 지난 5월 서울시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정대협의 수요집회 장면.

그런데 이번 아베 총리의 미국 방문의 또 다른 주연도 행사장 주변에 자리하고 있었다. 위안부 할머니들을 인솔하여 간 워싱턴 정대협이다. 이들은 하버드대학, 미 의회 등 아베 총리 일행을 따라다니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요구했다. 워싱턴 정대협으로 알려진 이 행사의 주관단체는 워싱턴정신대대책위원회로 한국의 정대협과는 별개의 단체다. 행사는 재미교포 단체인 워싱턴정신대대책위원회와 미국 LA가주한미포럼이 주도했다.

아베 총리 방미 관련 행사와는 별도로, 정대협 즉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한일 관계에선 이번 행사뿐 아니라 줄곧 정부를 대신하여 주인공 역할을 담당해 왔다. 최근 우리 정부의 대일(對日) 외교정책이 ‘위안부 문제와 관련하여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법적 배상’이라는 정대협이 만들어놓은 원칙의 틀에서 한 발짝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1990년 11월 발족한 정대협이 위안부 문제를 의제화하고 국내외적으로 공론화한 성과를 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일본 정부에 대한 정대협의 ‘무릎 꿇리기’ 식 태도와, 이런 정대협의 대일 운동에 끌려 다니는 우리 정부의 정책은 한일 관계와 한미 동맹의 악화를 초래한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386 운동권이 정대협 조직의 실무 주도

그래서 궁금해졌다. 정대협은 과연 과거에 말할 수 없는 고통을 당한 위안부 할머니들의 인권 개선을 위해 활동하는 순수한 시민단체인가? 아니면 다른 목표가 있는 운동단체인가? 이런 의문은 정대협이 진정으로 바라는 것이 위안부 할머니들의 문제 해결인지, 아니면 한국과 일본의 ‘결별’인지의 문제로 연결된다.

정대협은 1990년 한 신문에 ‘정신대 원혼의 발자취 취재기’를 연재하며 우리 사회에 위안부 문제를 알린 윤정옥 이화여대 교수와 한국여성단체연합 대표였던 이효재 이화여대 교수가 공동 대표로 참여, 37개 여성단체를 회원으로 1990년 11월 설립됐다.

이렇게 시작한 정대협은 일본 정부에 대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진상 규명과 사죄를 촉구하는 동시에 국제 사회에 위안부 문제를 알리는 데 주력했다. 성과도 잇따라서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책임과 배상을 권고하는 유엔 쿠마라스와미 보고서(1996년), 맥두걸 보고서(1998년), 미 하원 결의(2007년) 등을 이끌어냈다.

학계와 여성계의 주요 인사들이 참여해 출범한 초창기 정대협은 대부분의 단체처럼 조직 운영과 실무는 청년 활동가들이 주로 담당했다. 이때 대학을 졸업한 지 얼마 되지 않는 1980년대 초반 학번, 이른바 386 운동권들이 대거 실무 활동가로 정대협 소속 또는 비소속으로 참여하게 된다. 



media options
comments
There are no comments yet, be the first one to leave a comment!

leave a comment »
Login
Username

Pin


 

or


Comment:



북한의 처참한 인권에 침묵할거면 '민족'을 말하지 말고, 세습독재에 침묵할거면 '민주'를 말하지 말고, 북한의 우상화에 침북할거면 '종교'를 말하지 말아라. 편협된 이중잣대 엽겹다.

navigation
태극기보다 아름다운 괴물
모순덩어리 박원순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을 움직이는 사람들>

- [추적]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주요 임원 대해부

2011년 12월 정대협, ‘김 국방위원장 서거라는 급작스러운 비보에 북녘 동포들에게 깊은 애도를 전한다’는 조전(弔電) 북측 전달

● 윤미향 상임대표의 남편, 1994년 남매 간첩단 사건으로 징역 4년을 선고 받은 
   김삼석 씨
● 손미희 대외협력위원장 남편 한충목 씨, 맥아더 동상 철거집회 등 각종 反美
   투쟁 주도하다 실형
● 손미희 대외협력위원장은 40여 차례 訪北, 통진당 해산 결정 반대 시위,
   김정일 조문 주장
● 정대협 간부들 중 일부는 정권 퇴진, “박근혜 여성대통령 자격 없다”는 대국민
   호소문 발표 등 시국활동에 적극 참여

지난 4월 29일(현지 시각)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일본 총리 사상 최초로 미 의회 상하원 합동 연설을 했다. 이에 앞서 4월 27일에는 미·일 양국이 군사협력의 범위를 일본 주변 지역에서 세계적 차원으로 확대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미·일 방위협력지침을 개정했다.

미국과 일본의 관계가 ‘신(新)밀월’이라 불릴 정도로 급속도로 가까워지고 있는 반면, 한국은 소외되는 형국이다. 한일 관계가 악화일로일 뿐만 아니라, 한반도 안보의 핵심인 한미동맹마저 일본과의 소원한 관계 때문에 삐걱거리고 있다.

▲ 지난 5월 서울시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정대협의 수요집회 장면.

그런데 이번 아베 총리의 미국 방문의 또 다른 주연도 행사장 주변에 자리하고 있었다. 위안부 할머니들을 인솔하여 간 워싱턴 정대협이다. 이들은 하버드대학, 미 의회 등 아베 총리 일행을 따라다니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요구했다. 워싱턴 정대협으로 알려진 이 행사의 주관단체는 워싱턴정신대대책위원회로 한국의 정대협과는 별개의 단체다. 행사는 재미교포 단체인 워싱턴정신대대책위원회와 미국 LA가주한미포럼이 주도했다.

아베 총리 방미 관련 행사와는 별도로, 정대협 즉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한일 관계에선 이번 행사뿐 아니라 줄곧 정부를 대신하여 주인공 역할을 담당해 왔다. 최근 우리 정부의 대일(對日) 외교정책이 ‘위안부 문제와 관련하여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법적 배상’이라는 정대협이 만들어놓은 원칙의 틀에서 한 발짝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1990년 11월 발족한 정대협이 위안부 문제를 의제화하고 국내외적으로 공론화한 성과를 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일본 정부에 대한 정대협의 ‘무릎 꿇리기’ 식 태도와, 이런 정대협의 대일 운동에 끌려 다니는 우리 정부의 정책은 한일 관계와 한미 동맹의 악화를 초래한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386 운동권이 정대협 조직의 실무 주도

그래서 궁금해졌다. 정대협은 과연 과거에 말할 수 없는 고통을 당한 위안부 할머니들의 인권 개선을 위해 활동하는 순수한 시민단체인가? 아니면 다른 목표가 있는 운동단체인가? 이런 의문은 정대협이 진정으로 바라는 것이 위안부 할머니들의 문제 해결인지, 아니면 한국과 일본의 ‘결별’인지의 문제로 연결된다.

정대협은 1990년 한 신문에 ‘정신대 원혼의 발자취 취재기’를 연재하며 우리 사회에 위안부 문제를 알린 윤정옥 이화여대 교수와 한국여성단체연합 대표였던 이효재 이화여대 교수가 공동 대표로 참여, 37개 여성단체를 회원으로 1990년 11월 설립됐다.

이렇게 시작한 정대협은 일본 정부에 대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진상 규명과 사죄를 촉구하는 동시에 국제 사회에 위안부 문제를 알리는 데 주력했다. 성과도 잇따라서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책임과 배상을 권고하는 유엔 쿠마라스와미 보고서(1996년), 맥두걸 보고서(1998년), 미 하원 결의(2007년) 등을 이끌어냈다.

학계와 여성계의 주요 인사들이 참여해 출범한 초창기 정대협은 대부분의 단체처럼 조직 운영과 실무는 청년 활동가들이 주로 담당했다. 이때 대학을 졸업한 지 얼마 되지 않는 1980년대 초반 학번, 이른바 386 운동권들이 대거 실무 활동가로 정대협 소속 또는 비소속으로 참여하게 된다. 알고는 있냐?
tags
No tags yet

info
direct link
embed